어드바이저 연금저축 설계
어드바이저 맞춤형 연금저축 설계하기
평균수명이 지속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국민연금 및 퇴직연금만으로는 노후대비가 부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퇴직 후 평균 30~40년을 대비하려면 개인연금 특히 연금저축 가입이 필요합니다. 출산율이 1.3명으로 노인 부양인구 감소로 노후생활 본인 스스로 준비해야 합니다. 성인 64.5%가 은퇴준비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연금저축 어드바이저가 조사의 결과로 연금저축 설계가 필요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늘어나는 노인인구(65세 이상)는 2000년 7.2%, 2010년 11.0%, 2020년 15.7%, 2030년 24.3%로 늘어나게 됩니다.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지만 연금가입 등 노후 준비는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노후빈곤의 위험
생활비 41.8%, 필요성 못느낌 29.0%, 자녀교육, 결혼비용 14.6% 등으로 노후준비 미흡하다는 보건복지부 2011년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나타났습니다.
청소년 3명 중 1명만 부모부양
부모를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2002년 67.1%에서 2012년 35.6%로 급격히 감소했다고 보건복지부 2011년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나타났습니다.
노후빈곤의 위험
생활비 41.8%, 필요성 못느낌 29.0%, 자녀교육, 결혼비용 14.6% 등으로 노후준비가 미흡함이 나왔습니다.
미흡한 은퇴준비 실태
생활비 41.8%, 필요성 못느낌 29.0%, 자녀교육 결혼비용 등 14.6%, 수입부족 6.3%, 준비방법을 몰라서 6.1%의 조사결과 아직 미흡한 은퇴준비 실태를 알 수 있습니다.
자녀의 무관심 위험
부모를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청소년은 2002년 67.1%에서 2012년 35.6%로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청소년 3명 중 1명만 부모부양을 할 수 있습니다. 2012년 조사에서 가족이 35.6%, 가족과 정부, 사회 50.0%, 정부, 사회가 3.6%, 부모 스스로 해결 10.9%의 조사결과입니다.
연금저축은 최소한 5년 이상 유지하고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하는 장기 저축상품으로 안정적인 노후생활보장을 위한 상품입니다.
TIP 국민연금의 연금수령 시점 예시
현재 국민연금(노령연금)의 수령 개시연령은 만 60세이나 그 지급연령이 높아져 2013년부터는 5년마다 1세씩 연장하여 2033년부터는 만 65세부터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출생년도 |
53~56년생 |
57~60년생 |
61~64년생 |
65~68년생 |
69년생 이후 |
수령개시연령 |
61세 |
62세 |
63세 |
64세 |
65세 |
AT센터에서 열린 100세 시대 금융박람회에서 금융감독원은 사용자의 투자성향에 맞게 연금을 설계해 주는 연금 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시행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의 연금저축감독팀은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을 통해 수령하는 금액이 1인최소 노후생활비의 62% 수준에 그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힘든 경제로 소득이 감소해 노후준비 소홀로 연금저축 적립금이 지속적으로 둔화되고 있고 연금 평 월균 수령액도 1인기준 최소 노후생활비 99만원의 62%에 해당는 수준이기에 이를 해결하는 대안마련을 해야했습니다.
그것은 연금저축 어드바이저 서비스를 준비해 시행하기로 한 금융감독원은 노후준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연금, 인생설계, 재테크 등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제공을 하기로 했습니다.
연금저축 어드바이저는 원금손실 여부, 수수료 체계에 대한 선호도, 소비자의 투자성향을 진단해 그에 맞는 연금저축상품을 알려주는 서비스입니다.
노후준비에 관한 정보는 물론 설계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에 상담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파인 홈페이지에서 연금저축 어드바이저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연금 어드바이저가 필요했던 것은 금융감독원의 연금저축 현황 분석에 국민연금과 연금저축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부족할 뿐 아니라 월 평균 수령액이 61만원으로 1인 기준 최소 노후생활비인 99만원의 62%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금수령 현황은 확정기간형 연금수령이 전체 보유계약으 57.3%를 차지했고 종신형이 33.9%, 미지정이 7.1%, 확정금액형이 1.6%, 2개 이상의 연금수령형태를 선택한 혼합형이 0.1%대였습니다.
이렇게 낮은 수치를 개선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만든 서비스가 연금 어드바이저입니다. 노후는 먼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지금이라도 하나씩 준비해 보장되고 계획된 노후를 맞이해야 하겠습니다.
오늘은 연금저축 어드바이저가 조사의 결과로 연금저축 설계가 필요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재테크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대신입사원 월급으로 돈모으기 (0) | 2017.08.11 |
---|---|
금리변동 명암, 가계소비, 기업투자 (0) | 2017.08.04 |
cma통장금리비교 및 cma통장추천 (0) | 2017.08.03 |
금융권 마이너스통장 금리인하 (0) | 2017.07.01 |
주택청약종합저축 1순위조건 체크 (0) | 201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