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요관리 및 자재계획 알아보기
● 소요관리 의의
소요관리는 장차 발생이 예상되는 수요량을 정확히 판단하여 실제의 수요와 일체시킴으로써 기업경영에 기여하는 과학적인 관리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재관리 기능으로서의 소요관리는 계획기능으로 장래의 소요를 예측하여 자재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소요는 '필요한 것'을 말하며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소요산정 기본요소
자재관리는 수요예측으로부터 시작되며 이것은 소요관리의 기능이다. 그러므로 소요관리기능은 그 시발점으로 가장 중요한 기능의 하나이다. 왜냐하면 수요량이 예측되어야 조달 ▶ 분배에 이르는 과정이 이루어지며 예측수요와 실제수요가 불균형할 경우 자금의 사장화, 비용의 증대 등 경제성이 저해되거나 제고고갈로 인한 생산활동 및 판매활동의 부진으로 기업의 계속성 유지가 곤란하다.
수요예측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기업경영의 목표와 계획을 기초로 하여 과거의 수요실적에 의한 추세분석과 표준지표 및 재고상태를 활용하여야 한다.
● 자재계획 의의
광의의 자재계획을 구분하면 자재관리 방침, 부문별 자재계획으로 요약할 수 있다. 자재관리방침은 자재부문에 대한 최고 경영관리층의 기대를 표현한 것이며 이는 경영방침을 기초로 자재관리의 목표를 명확히 제시함은 물론 일상 업무수행의 기준으로서 불가결한 요소이다. 부문별 자재계획은 자재관련 각 부서에서 자재관리 방침을 기초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 각 부문의 기능을 완수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들면 제조부문에서는 제품생산에 필요한 원, 부자재, 치공구, 금형 등 설비부문에서는 기계, 설비의 보수, 유지에 실시되고 있을 경우는 자재 전담부서에 각 부문에서 수립한 자재계획을 종합, 획득방법과 시기, 공급방법을 결정, 계획화하여야 한다.
또한 구매부분은 조달방법, 조달시기를 계획하여 활동을 전개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자재관련 제반 부문에서 자재기능에 따르는 활동을 구체화한 계획을 부문별 자재계획 또는 총칭 자재계획이라 한다.
● 자재관리 방침
자자재고에 관한 방침, 구매에 관한 기본방침으로 구분된다. 기본방침에 포함되어야 할 자재에 관한 전반적인 기본방침이 자재관리 방침이며 자재관련 부문까지 포함된 자재업무처리에 관한 기본방침이라 할 수 있다.
'구매자재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관리, 새로운 외주방향 (0) | 2018.03.28 |
---|---|
가치분석, 마일즈 13가지 요약 (0) | 2018.03.22 |
구매, 자매관리 관련 기법 (0) | 2018.03.21 |
자재관리 이해하기 (0) | 2018.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