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분석, 마일즈 13가지 요약
가치분석, 마일즈 13가지 요약
가치분석기법은 개발 초창기부터 널리 보급되어 각 기업에서 적용하기 시작한 1957년경까지는 기존제품이나 자재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치분석이라 개념하였다. 그러나 이때부터 가치분석은 기존의 것 뿐만 아니라 장래의 제품이나 자재도 대상으로 하는 생산 전 구매분석 기술로서의 전환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1958년경 극히 소수의 기업에서 생산 전 구매분석(PPA:Production Purchase Analysis)이 도입되어 그 효과가 크다는 것이 높이 평가되기에 이르러 가치분석에 있어 일대 전환의 계기와 비약적인 발전기에 접어들었다.
이와같은 개념은 당시의 가치분석이 일반적으로 이미 생산되기 시작한 제품, 재료, 부품 등 자재를 대상으로 적용된다는 약점이 있어 가치분석은 앞으로 20년 이내에 진부화된 기법으로 전략될 것이다라는 전문가도 있었다. 진정한 가치분석은 장래를 향하여 개발설계의 최초의 단계로부터 이를 적용하는 생산전 구매분석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고 하기에 이르렀다.
가치분석에 의해 가치가 크게 저감된 경우 그 대상이 된 많은 제품이나 자재는 그 이전에 이미 생산되고 있다. 가치분석에 있어 과거에 얻을 수 있었던 원가절감에 의한 이익의 증대를 만회할 수는 없으나 생산 전 구매분석에 있어 지금부터 장래를 향한 기대를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 가치분석에서 기능분석 평가가 적용되는 단계
● 설계이전의 단계(predesignate Stage)
●설계개념의 단계(Design-Concept Stage)
●설계의 단계(Design Stage)
●조달의 단계(Procurement Stage)
●제조의 단계(Manufacturing Stage)
●그 후의 원가개선 단계(Later Cost-Improvement Stage)
● 가치분석 진행의 기본단계
● 기능의 확인(Identify The Function)
● 기능의 비교평가(Evaluate The Function by Comparison)
● 가치의 대체품 개발(Cause Value Alternatives to be Developed)
● 마일즈의 13가지의 요약
● 일반성을 피할 것
● 모든 이용 가능한 코스트를 수집할 것
● 가장 좋은 정보만을 이용할 것
● 파괴한 다음에 창조하여 세련되게 할 것
● 진정한 독창성을 활용할 것
● 장해를 확인하여 제거할 것
● 전문지식을 넓히기 위해서 전문가를 이용할 것
● 주요공차를 금액으로 평가할 것
● 판매측의 기능제품을 활용할 것
● 판매측의 숙련과 지식을 활용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줄 것
● 전문적 생산공정을 활용할 것
● 적용 가능한 표준을 활용할 것
● 자기 돈이면 이렇게 사용할 것이라는 기준을 이용할 것
● 가치분석을 실제로 진행시 우선 명확하게 해결할 5가지
● 그 물품은 무엇인가?
● 그 코스트는 얼마인가?
● 그 물품은 무엇을 하는 것인가?
● 다른 것으로써 그 일을 할 수는 없는가?
● 그 대체품의 코스트는 얼마인가?
'구매자재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매관리, 새로운 외주방향 (0) | 2018.03.28 |
---|---|
구매, 자매관리 관련 기법 (0) | 2018.03.21 |
소요관리 및 자재계획 알아보기 (0) | 2018.03.15 |
자재관리 이해하기 (0) | 2018.02.21 |